안녕하세요. 오늘은 풍산홀딩스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아타임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풍산홀딩스(005810)는 국내 대표적인 비철금속 및 방산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안정적인 배당 정책과 견고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구리 및 신동 제품의 수요에 따라 실적이 변동하며, 글로벌 경기와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징이 있습니다.
2024년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함께 방산 수출 확대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에 따른 배당 정책도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2025년 풍산홀딩스의 주가와 배당금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이번 글에서는 최근 실적을 바탕으로 배당 성향 및 향후 주가 전망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1. 풍산홀딩스 개요 및 주요 사업
1.1. 풍산홀딩스는 어떤 기업인가?
풍산홀딩스는 국내 대표적인 비철금속 및 방산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풍산그룹의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08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사업 부문을 자회사(풍산 등)로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풍산홀딩스는 그룹 전체의 전략 기획 및 계열사 관리 역할을 담당합니다.
기업 개요
- 설립연도: 1968년
- 상장일: 1976년 6월
- 업종: 금융 및 지주회사
- 주요 계열사: 풍산(비철금속 및 방산 사업), 풍산특수금속 등
- 시장지위: 국내 최대 신동(구리·황동) 제조업체의 지주사
풍산홀딩스의 매출은 주로 자회사인 풍산의 실적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풍산은 신동(구리 및 구리 합금 제품) 제조업과 방산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구리 가격 변동과 방산 수출에 따라 실적이 결정됩니다.
1.2. 풍산홀딩스의 주력 사업 및 핵심 경쟁력
신동 사업 (비철금속 가공 산업)
풍산의 신동 사업부문은 국내 1위이며, 구리 및 구리 합금 제품을 제조하여 반도체, 자동차, 전자기기, 건설, 2차전지 등 다양한 산업에 공급합니다.
🔹 주요 제품
- 동판, 동선, 황동봉, 황동판, 인청동 제품 등
- 반도체 및 2차전지용 초정밀 동박 공급
🔹 핵심 경쟁력
✔ 국내 유일의 대규모 신동 제품 제조업체
✔ 구리 가격 상승 시 수혜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중요)
✔ 글로벌 전기차·반도체 산업 성장으로 인한 수요 확대
방산 사업
방산 부문은 풍산의 또 다른 핵심 사업으로, 군용 탄약 및 민수용 탄약(사냥·스포츠 탄약) 등을 생산합니다.
🔹 주요 제품
- 군수 탄약: 5.56mm, 7.62mm, 12.7mm 등
- 민수용 탄약: 스포츠·사냥용 탄약
- 특수 탄약: 철갑탄, 스마트탄약, 레이저 유도탄 등
🔹 핵심 경쟁력
✔ 국내 유일의 탄약 제조업체 (독점적 시장 지위)
✔ 방산 수출 증가로 실적 개선 가능성
✔ 전 세계 탄약 시장에서 안정적인 공급망 보유
2. 풍산홀딩스 실적 분석 및 재무 현황
2.1. 풍산홀딩스 2024년 실적 분석
(예상 실적 기준, 단위: 억 원)
- 매출액: 4,460억 원 (2023년 대비 증가)
- 영업이익: 1,139억 원 (수익성 회복)
- 세전계속사업이익: 1,140억 원
- 당기순이익: 1,050억 원
📌 매출 및 이익 개선 원인
- 2023년 대비 매출 성장, 영업이익률 상승
- 원자재 가격 변동성 반영, 방산 사업 호조
📌 영업이익률 (Profit Margin)
- 2023년: 16.68%
- 2024년(예상): 25.54%
👉 이익률이 대폭 증가,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음.
2.2. 풍산홀딩스 재무 상태 및 부채 비율
(2024년 기준, 단위: 억 원)
- 자산총계: 12,970억 원
- 부채총계: 1,790억 원
- 자본총계: 11,180억 원
- 부채비율: 16.01% (안정적인 수준)
- ROE (자기자본이익률): 8.45%
- ROA (총자산이익률): 6.15%
재무 안정성 평가
✅ 부채비율 16.01% →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재무 건전성이 우수함.
✅ 자기자본(자본총계) 증가 → 지속적인 이익 누적으로 장기적으로 안정적.
2.3. 요약
✔ 2024년 매출과 이익 개선 → 방산 사업 성장 및 원자재 가격 반영
✔ 영업이익률 대폭 상승 (16.68% → 25.54%) → 수익성 개선
✔ 부채비율 16.01% → 안정적인 재무구조 유지
👉 전반적으로 실적이 개선되고 있으며, 재무 구조가 안정적이므로 배당 및 장기 투자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3. 풍산홀딩스 배당금 및 배당 성향 분석
3.1. 최근 배당금 지급 내역
풍산홀딩스는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유지하며, 2018년 이후 연간 1,200~1,700원의 배당을 지급해왔습니다.
연도 | 배당금 (KRW) | 지급일 | 배당 수익률 |
---|---|---|---|
2025년 | 1,400원 | 2025년 4월 9일 | 4.96% |
2024년 | 1,400원 | 2024년 4월 9일 | 3.73% |
2023년 | 1,300원 | 2023년 4월 7일 | 4.45% |
2022년 | 1,400원 | 2022년 4월 8일 | 4.70% |
2021년 | 1,200원 | 2021년 4월 7일 | 4.12% |
2020년 | 1,400원 | 2020년 4월 10일 | 4.08% |
2019년 | 1,700원 | 2019년 4월 5일 | 4.48% |
✅ 배당금 지급 일정: 매년 12월 배당락일 → 다음 해 4월 초 배당금 지급
✅ 배당금 유지 경향: 1,200~1,700원 수준에서 안정적 지급
3.2. 배당 성향 및 배당 수익률 비교
배당 성향(배당금 지급액 대비 순이익 비율)은 2025년 기준 11.71%로 비교적 낮은 수준입니다.
- 배당 성향 (Payout Ratio, TTM): 11.71%
- EPS (주당순이익): 7,930.3원
- 배당 수익률: 4.96% (2025년 기준)
배당 성향 분석
✔ 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중이 낮아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 높음
✔ 배당 수익률(4.96%)은 산업 평균을 상회하여 매력
4. 풍산홀딩스 주가 전망 및 리스크 요인
4.1. 최근 주가 흐름 분석
- 현재 주가: 28,500원 (+1.06%, 2025년 2월 26일 기준)
- 52주 최저가: 23,950원
- 52주 최고가: 34,000원
- 단기 흐름: 최근 주가는 저점(23,950원)에서 반등 후 28,500원까지 상승
- 거래량 증가: 최근 20일 평균 거래량 58.36K, 거래량이 증가하며 상승세
주요 특징
✔ 2024년 초반 급등 후 조정 → 최근 다시 반등
✔ 28,000원 이상 유지하며 기술적 저항선 돌파 시 30,000원 돌파 가능성
✔ 34,000원 부근에서 저항 가능성, 하지만 실적 호조 시 돌파 기대
4.2. 2025년 주가 전망
- 단기(3~6개월): 27,000원~30,000원 사이 박스권 가능성
- 중기(6~12개월): 실적 개선 시 32,000~34,000원 도전
- 장기(1년 이상): 구리 가격 상승 및 방산 수출 증가 시 35,000원 이상 상승 가능성
주가 상승 가능성 요인
배당 수익률 4.96% 유지 → 배당 매력으로 기관·개인 투자 수요 증가
방산 수출 확대 → 글로벌 방산 시장 성장 기대
구리 가격 상승 가능성 → 신동(비철금속) 사업 수혜
주가 하락 리스크
원자재(구리) 가격 하락 시 매출 감소 우려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 → 전반적 산업 수요 둔화
방산 수출 규제 리스크
4.3. 주요 호재 및 악재 분석
🔥 호재 요인
1️⃣ 방산 사업 성장 지속
- 한국 방산 수출 증가 → 풍산의 탄약 사업 수혜
2️⃣ 구리 가격 상승 가능성
- 2차전지·반도체 산업에서 구리 수요 지속 증가
- 원자재 가격 상승 시 풍산홀딩스 수익성 증가
3️⃣ 배당 매력 유지
- 안정적 배당 유지로 장기 투자자 유입 가능성
- 배당 성향 11.71%로 낮아, 추가 배당 증가 가능성
⚠️ 악재 요인
1️⃣ 구리 가격 변동성
- 구리 가격이 하락하면 신동(비철금속) 부문 매출 감소
- 글로벌 경기 둔화 시 구리 수요 감소 가능성
2️⃣ 방산 수출 규제 및 정책 변화
- 한국 정부의 방산 수출 정책 변화 가능성
- 글로벌 수요 둔화 시 방산 매출 감소 위험
3️⃣ 경기 변동성 & 금리 영향
- 금리 인상 시 기업 투자 둔화 가능성
- 글로벌 경기 둔화 시 산업 수요 위축 가능
4.4. 경기 변동 및 원자재 가격 영향
✔ 구리 가격 상승 시 긍정적
- 구리 가격이 오르면 신동 사업부문 실적 개선
- 현재 원자재 가격 반등 가능성이 있어 추가 상승 여력 존재
5. 풍산홀딩스 투자 시 고려사항
5.1. 현재 투자 매력도 분석
긍정적 요인
배당주 매력: 배당 수익률 4.96%로, 안정적인 배당 지급 정책 유지
방산 사업 성장: 글로벌 방산 수출 증가 → 탄약 수요 확대 기대
구리 가격 상승 가능성: 구리 가격이 상승하면 신동(비철금속) 사업부문 수혜
재무 안정성: 부채비율 16.01%로 낮아, 재무구조가 우수
주가 저평가 가능성: PER(주가수익비율) 4.47배 수준 → 업종 대비 저평가
부정적 요인
구리 가격 하락 시 매출 타격: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 실적에 영향
방산 수출 규제 가능성: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 존재
경기 변동성: 경기 둔화 시 신동 사업부문 매출 감소 가능
5.2. 장기 투자 vs 단기 투자 전략
장기 투자 (1년 이상)
✔ 배당 투자 매력 (4.96% 유지)
✔ 방산 사업 성장 지속 예상
✔ 구리 가격 상승 가능성 (2차전지·반도체 산업 수요 증가)
단기 투자 (6개월 미만)
✔ 최근 주가가 28,000원 이상 반등 중, 단기 상승 가능성
✔ 30,000원 돌파 시 추가 상승 가능성 (저항선 34,000원)
✔ 구리 가격과 방산 수주 발표에 따라 변동 가능
6. 마치며
2025년 기준으로 볼 때, 풍산홀딩스는 배당 성향이 안정적이고, 실적 또한 원자재 시장과 방산 업황에 따라 긍정적인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는 여전히 주가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배당주 투자자라면, 풍산홀딩스의 지속적인 배당 정책은 매력적인 요소
- 단기 투자자라면, 원자재 가격 변동성과 글로벌 경기 상황을 면밀히 체크 필요
- 장기 투자자라면, 방산 사업 성장성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수익 창출 가능성
결과적으로, 보수적인 투자자에게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이지만, 시장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