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SOL 조선TOP3플러스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아타임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최근 글로벌 조선업 시장이 친환경 선박과 LNG선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면서, 한국 조선업계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빅3 조선사가 수주량 증가와 선가 상승을 기반으로 실적 개선을 이루고 있죠.
SOL 조선TOP3플러스 ETF는 조선업 성장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ETF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 지속된 LNG선 발주 증가와 친환경 선박 트렌드는 향후 조선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SOL 조선TOP3플러스 ETF의 주가 전망도 밝아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 ETF는 2025년에 투자 가치가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ETF의 기본 개요부터 조선업 전망, 주가 분석, 그리고 투자 유의점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SOL 조선TOP3플러스 ETF란?
1.1. SOL 조선TOP3플러스 ETF 기본 개요
SOL 조선TOP3플러스 ETF는 한국의 대표적인 조선업체 3개(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와 관련된 조선 기자재 및 부품업체들로 구성된 ETF입니다.
- 운용사: 신한자산운용
- 상장일: 2023년 10월 5일
- 기초지수: FnGuide 조선 TOP3 플러스 지수
- 시가총액: 7,642억 원
- 순자산(AUM): 7,884억 원
- 상장 주식 수: 39,000,000주
- 구성 종목 수: 14종목
1.2. 포함된 주요 종목 (2025년 2월 기준)
종목명 | 현재가 | 비중 |
---|---|---|
한화오션 | 77,900원 | 32.33% |
삼성중공업 | 12,710원 | 16.68% |
HD한국조선해양 | 225,500원 | 15.46% |
HD현대중공업 | 334,500원 | 10.89% |
HD현대미포조선 | 109,600원 | 5.84% |
한화엔진 | 24,350원 | 5.69% |
HD현대마린솔루션 | 158,300원 | 4.58% |
HD현대마린엔진 | 27,600원 | 2.09% |
성광밴드 | 25,550원 | 1.73% |
동성화인텍 | 20,700원 | 1.50% |
태광 | 20,750원 | 1.23% |
STX엔진 | 25,900원 | 1.04% |
세진중공업 | 8,870원 | 0.78% |
3. SOL 조선TOP3플러스 ETF 운용사 및 특징
- 신한자산운용에서 운용하는 ETF로, 조선업 대표 3사(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뿐만 아니라 조선 기자재 기업까지 포함하여 조선업 전반에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됨.
- 친환경 선박 및 LNG선박 수요 증가로 인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섹터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취함.
- 해운 및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으나, 조선업 사이클이 상승 국면에 진입할 경우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2. 조선업 전망
2.1. 글로벌 조선업 시장 동향
2025년 조선업 시장은 친환경 선박 전환과 LNG 운반선 수요 증가를 중심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 환경 규제 강화: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중립 목표(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 50% 감축)로 인해, 선박 연료가 기존 중유에서 LNG·암모니아·수소 등으로 빠르게 전환 중.
- 해운 시장 회복: 글로벌 경제 회복에 따라 물동량 증가 예상. 특히, 미·중 무역 긴장 완화와 유럽·아시아 간 교역량 증가가 조선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전망.
- LNG선·컨테이너선 발주 증가: 최근 2~3년간 LNG 운반선 및 대형 컨테이너선의 신규 발주량이 급증하면서,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 중국과의 경쟁 심화: 한국 조선업체들은 고부가가치 선박(LNG선, 초대형 컨테이너선, 군함)을 중심으로 수주를 확대하는 반면, 중국 조선업체들은 여전히 저가 선박과 벌크선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 중.
2.2. 주요 선박 발주량 및 LNG선 트렌드
✅ LNG선 수주 강세
- 2024년 기준 전 세계 LNG선 발주의 75% 이상을 한국 조선 3사가 독점.
-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등에서 LNG 수출 확대 계획을 발표하면서, LNG선 추가 발주 가능성이 높음.
✅ 고부가가치 선박 집중
- 암모니아·수소 추진선 개발 확대 → 한국 조선업체들이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중.
- 초대형 컨테이너선, VLCC(초대형 원유운반선) 및 해양 플랜트 분야에서도 한국 조선사들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음.
✅ 선박 수주량 증가
- 2024년 조선업계 전체 수주량은 전년 대비 10~15%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특히 LNG 운반선과 친환경 선박 발주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2025년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큼.
3. SOL 조선TOP3플러스 ETF 주가 흐름
3.1. 최근 1년간 주가 트렌드
SOL 조선TOP3플러스 ETF의 1년간 주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하며, 2024년 2월 14일 기준 19,595원을 기록.
- 2024년 초반 약 7,340원 수준에서 시작하여 지속 상승하며, 2025년 2월 현재 19,595원까지 상승.
- ETF 총 수익률은 약 +128.38%로, 1년간 가파른 상승세를 보임.
- 최근 고점은 약 21,390원으로 기록, 조선업 수주 호황과 LNG선 발주 증가에 따라 강한 상승 흐름을 보임.
- 중간중간 조정 국면이 있었으나, 장기적으로는 계단식 상승 구조를 형성하며 지속적인 강세 유지.
3.2. ETF 수익률 분석
- 최근 1년간 +128.38%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국내 조선업 관련 ETF 중에서도 최상위권 수익률을 보임.
- 주요 원인
✅ LNG 운반선 수요 증가 → 한국 조선업체들의 연이은 대규모 수주
✅ 친환경 선박 전환 트렌드 → 한국 조선사들의 경쟁력 강화
✅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등 주요 기업 주가 상승 반영
3.3. 글로벌 경기와의 연관성
- 조선업은 경기 민감 업종으로, 글로벌 경제 회복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짐.
- 미국·중국·유럽 경기 회복세
- 미국의 LNG 수출 확대, 유럽의 러시아 가스 의존도 감소 등의 요인으로 LNG선 발주 증가 예상.
- 중국 경기 둔화 우려가 있지만, 해운 운임 지수 상승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 국제 해운 시장 회복
- BDI(벌크선 운임지수) 및 SCFI(컨테이너선 운임지수) 상승 → 선박 발주 증가 기대.
- 글로벌 해운사들의 친환경 선박 교체 수요 증가.
- 조선업 경기 상승 사이클 진입 중
- 2025년에도 조선업 강세 전망이 유지될 가능성이 크며, ETF 주가 상승 기대감이 여전히 존재.
- 다만, 글로벌 금리 변동성과 중국 조선업체들의 경쟁 심화는 주가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있음.
4. SOL 조선TOP3플러스 ETF 전망
4.1. 조선업 회복 가능성 🚢
✅ LNG운반선·친환경 선박 수주 확대
-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LNG 운반선 발주 증가 예상.
- IMO(국제해사기구)의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암모니아·수소 추진 선박, 이중연료선(LNG+디젤) 발주 증가.
- 한국 조선 3사(LNG선 75% 독점) 수혜 가능성 큼.
✅ 조선업 경기 회복세 지속
- 2024년 조선업은 상승 국면 진입, 2025년에도 글로벌 경기 회복과 해운 물동량 증가로 수주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큼.
- BDI(벌크선 운임지수), SCFI(컨테이너선 운임지수) 상승 중, 해운업 회복에 따라 신규 선박 발주 증가 가능성.
✅ 기술력 기반 고부가가치
- 한국 조선업체들은 친환경 선박·해양플랜트·LNG선에서 글로벌 최강자.
- 중국과의 저가 경쟁에서 벗어나, 프리미엄 시장을 장악 중.
- 조선업 상승 사이클이 유지된다면, ETF 주가도 긍정적인 흐름 예상.
4.2. 정부 정책 및 해운산업 동향
✅ 조선업 지원 정책 확대
- 조선업 인력난 해소 정책 추진 → 숙련공 확보 및 AI·로봇 자동화 도입 확대.
- 친환경 선박 개발 지원 → LNG·암모니아·수소 추진선 개발을 위한 연구비 지원 증가.
- 해운·조선업 연계 금융 지원 → 조선사들의 선박 제작 자금 조달 원활화.
✅ 대규모 선박 교체 수요
- 유럽과 미국 해운사들, 탄소 배출 규제로 인해 선박 교체 가속화.
- 글로벌 선주들의 신규 선박 발주량 증가 전망 → 조선 3사 실적 개선 가능성.
- 전 세계 물류량 증가 예상, 중국 경기 둔화에도 미국·유럽 경제 회복세 지속.
5. SOL 조선TOP3플러스 ETF 투자 시 유의점
5.1. 장점: 조선업 성장 수혜
1️⃣ 조선업 상승 사이클
- LNG 운반선, 친환경 선박 발주 증가에 따른 조선 3사의 수혜 가능성.
- IMO(국제해사기구)의 환경 규제 강화 → 선박 교체 수요 지속 증가.
2️⃣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 장악
- 한국 조선업체들은 LNG선, 암모니아·수소 추진선,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글로벌 1위.
- 중국 조선업체들과의 차별화 성공, 프리미엄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
3️⃣ 실적 개선 기대감
- 2024년 수익률 +128.38% 기록 → 강한 상승세 유지.
- 2025년에도 LNG선 발주 증가 전망 → 장기적 상승 여력 충분.
5.2. 단점: 조선업 사이클 변동성
1️⃣ 경기 민감 산업
- 조선업은 경기 변동성이 큰 업종 → 해운 물동량 감소 시 발주 급감 가능성.
- 글로벌 경제 둔화, 금리 상승 등의 거시경제 변수에 취약.
2️⃣ 중국 조선업체와 경쟁 심화
- 중국 조선업체들은 저가 전략으로 벌크선, 컨테이너선 시장 점유율 확대 중.
- 한국 조선업체들이 프리미엄 시장(고부가가치 선박)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관건.
3️⃣ 단기 조정 가능성 존재
- 최근 1년간 ETF 주가 급등 → 단기 차익 실현 매물 출회 가능성.
- 장기적으로는 성장 가능성이 크지만, 단기 변동성이 클 수 있음.
5.3. 적절한 투자 전략
1. 장기 투자 관점 유지
- 조선업은 긴 호황과 긴 불황이 반복되는 산업 → 단기 조정에도 장기적 성장성을 보고 투자하는 전략이 유효.
- 2025~2026년까지 조선업 사이클이 강세일 가능성이 높음.
2. 분할 매수 전략 활용
- 최근 1년간 128% 상승 → 단기 조정 국면에서 저가 매수 기회 활용.
- 조선업 사이클을 고려해 장기 분할 매수 전략 적용.
3. 조선업 지표 체크 필수
- LNG선 발주량, BDI(벌크선 운임지수), SCFI(컨테이너 운임지수), 조선업 수주 동향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 글로벌 경제 성장률, 해운업 경기 변화 등에 따른 유동적인 투자 전략 필요.
4. 대체 ETF 및 포트폴리오 다변화
- 조선업 관련 ETF 외에도 해운업 ETF, 철강·에너지 ETF 등을 함께 고려.
- 경기 침체 가능성 대비해 방어적인 포트폴리오 구성 필요.
6. 마치며
2025년 조선업 시장은 LNG선 및 친환경 선박 발주 증가를 중심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SOL 조선TOP3플러스 ETF는 조선업 상승 사이클에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에게 유망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선업 특성상 경기 변동성과 글로벌 해운 시장의 영향을 받는 산업이므로, 단기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장기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투자 시점과 전략을 신중히 고려하며, 시장 흐름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